2016년 4월 19일 화요일

몽골어 시제

몽골어의 시제는 한글과 마찬가지로 과거, 현재, 미래로 나뉜다.
조금 더 세부적으로 보자면
  • 과거 - 일반적인 과거, 가까운 과거
  • 현재 - 일반적인 현재, 현재진행
  • 미래 - 일반적인 미래, 가까운 미래
로 구분할 수 있다.
모든 시제변화는 동사 뒤에 특정 어미를 붙이는 것으로 나타낸다.

* 참고 : 어미에 붙는 형태의 뒤에 4와 같이 표기되는 것은 앞의 동사에 포함되어있는 모음에 따라 а/э/о/ө 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
  예를 들어 -сан의 경우 -сан/-сэн/-сон/-сөн 으로 바뀔 수 있다.
  이 부분은 문법 관련 글을 포스팅하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적도록 하겠다.

  • 과거
    • 일반적인 과거
      • 일반적으로 과거에 ~했었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형식 : 동사 + сан4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сан → явсан(/얍슨/ 갔다)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сэн → ирсэн(/이르슨/ 왔다)
    • 가까운 과거
      • 조금 전에 ~했었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형식 :  동사 + лаа4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даа → явлаа(/야을라/ 갔다)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лээ → ирлээ(/이를레/ 왔다) 
  • 현재
    •  일반적인 현재
      • 일반적으로 ~한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형식 : 동사 + даг4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даг → явдаг(/야ㅂ득ㄱ/ 간다)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дэг → ирдэг(/이ㄹ덱ㄱ/ 온다)
    • 현재진행
      • 지금 무엇을 하고있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형식 : 동사 + ж/ч байна
               (쯔/츠 밴 으로 발음하는게 정상이지만 실제 회화에서는 찐/친 으로 발음)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ж байна → явж байна(/야ㅂ찐/ 가고 있다)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ж байна → ирж байна(/이ㄹ찐/ 오고 있다)
  • 미래
    • 일반적인 미래
      • 일반적으로 ~할 것이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형식 : 동사 + на4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на → явна(/야븐/ 갈 것이다) - w에 가까운 v 발음 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нэ → ирнэ(/이른/ 올 것이다)
    • 가까운 미래
      • 지금 바로 ~할 것이다.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      • 가까운 과거와 형식이 똑같으며,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해석이 바뀐다.
      • 형식 : 동사 + лаа4
        예 : явах(/야와흐/ 가다) + даа → явлаа(/야을라/ 지금 바로 갈 것이다)
               ирэх(/이레흐/ 오다) + лээ → ирлээ(/이를레/ 지금 바로 올 것이다)


아직 몽골어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적은 내용이라
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