몽골어 알파벳(차강 털거이) 및 발음
몽골어를 쓰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가 있다.
- Монгол бичиг (발음은 몽골 비치그)
전통 방식대로 세로로 쓰는 형식인데, 배우기가 어려워서 현재는 단독으로 표기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, 건물 장식 혹은 액자 등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.
- Цагаан толгой (발음은 차강 털거이)
러시아 키릴문자를 차용한 후 알파벳 두 개(Ө, Ү)를 더해 사용하는 방식인데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.
(다만, 키릴문자를 차용했으나 러시아어에서 사용하는 키릴문자와는 발음이 조금씩 다르다) - 그 외에 키릴문자의 발음을 영어로 변환해 적는 방식이 있는데 주로 온라인상에서 혹은 문자메세지상에서 사용된다.
(예를 들어 가장 기본적인 인사말인 Сайн байна уу?를 Sain baina uu? 라고 표기한다)
몽골어 알파벳은 총 35개(모음 7개, 자음 25개, 문장기호 3개)로, 알파벳 대/소문자 및 발음은 아래와 같다
(모음은 굵게 표시함)
- 대문자 / 소문자 // 영문표기법 순으로 나열
- А / а // a [모음 1. 남성모음]
/아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ㅏ/ 발음
- Б / б // b
/베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ㅂ/ 발음
- В / в // v(또는 w)
/vㅔ/ 또는 /웨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v/ 혹은 /w/
한글에는 없는 소리로 경우에 따라 v 또는 w 로 발음한다.
- Г / г // g
/게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ㄱ/ 발음
- Д / д // d
/데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ㄷ/ 발음
- Е / е // ye
/예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ㅖ/ 발음
한글로 표기할때는 /예/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지만 실제로는 /이예/를 한 음절로 뭉쳐서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한글에서는 /ㅖ/ 발음이면 모음이라고 생각되지만 몽골어에서는 자음으로 취급한다
- Ё / ё // yo
/여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ㅕ/ 발음
Е와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/이여/를 한 음절로 발음하며, 자음으로 취급한다.
- Ж / ж // j
/제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ㅈ/ 발음
한국인 입장에서는 아래의 З와 발음을 구분하기 어렵다. 영어 표기로 보자면 / j / 발음
- З / з // z
/제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ㅈ/ 발음
한글로 표현하면 Ж나 З 모두/ㅈ/ 발음이지만, 영어 표기로 보자면 이쪽은 / z / 발음이다.
- И / и // i [모음 2. 남성모음 여성모음 둘다 사용가능]
/이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ㅣ/ 발음
- Й / й // i
/하가스 이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ㅣ/ 발음
이 모음은 단독으로 나오지 않고, 다른 모음 뒤에 /ㅣ/ 발음이 나올 때 사용된다.
(예 : Сайн)
참고로 하가스라는 것은 몽골어로 '절반'을 의미하므로 /이/ 발음의 절반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.
- К / к // k
/케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ㅋ/ 발음
- Л / л // l
/일ㄹ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ㄹㄹ/ 발음
이 발음은 영어로 표현하면 / l / 이므로 아래에 나올 Р (영문 발음 / r /)와 발음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
- М / м // m
/임/ 이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ㅁ/ 발음
- Н / н // n
/인/ 이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ㄴ/ 혹은 /ㅇ/ 발음
주로 Н이 문장 끝에 올 경우 /ㅇ/, 그 외에는 /ㄴ/으로 발음된다.
(예 : Сайн 셍, байна 벤)
- О / о // o(또는 u) [모음 3. 남성모음]
/어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ㅓ/ 발음
- Ө / ө // o(또는 u) [모음 4. 여성모음]
한국어에도, 영문 표기에도 없는 발음이다.
입모양은 /으/ 발음을 하는 것처럼 하고 실제 발음은 /어/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/으/와 /어/의 중간쯤 있는 발음
- П / п // p
/페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ㅍ/
영문 표기에서는 / p /이므로 아래 나올 Ф(영문 발음 / f /)와 발음을 구분해야 한다.
- Р / р // r
/이르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ㄹ/ 발음
영어 표기로는 / r /이므로 Л 발음과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.
(예 : Дорнод 더르너드(o) 덜르너드(x) / Талх 탈ㄹ흐(o) 탈흐(x))
- С / с // s
/이스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ㅅ/ 발음
- Т / т // t
/테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ㅌ/ 발음
- У / у // u [모음 5. 남성모음]
/오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ㅗ/ 발음
- Ү / ү // u [모음 6. 여성모음]
/우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ㅜ/ 발음
- Ф / ф // f
/fㅔ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 f / 발음
영문 표기에서는 / f /이므로 위의 П(영문 발음 / p /)와 발음을 구분해야 한다.
- Х / х // h(또는 x)
/혜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ㅎ/ 혹은 /ㅋㅎ/ 발음
이 문자도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라서 발음하기가 어렵다.
ㅋ와 ㅎ가 함께 나오는데 ㅋ 발음이 앞에 살짝 섞여있다고 생각하면 된다.
- Ц / ц // ts(또는 c)
/체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ㅊ/ 발음
한국인 입장에서 이 문자도 발음하기 어렵다. /ts/ 발음인데 아래의 Ч와 구분이 어렵다.
- Ч / ч // ch
/체/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ㅊ/ 발음
Ц와 마찬가지의 발음인데 영어 표기로는 /ch/ 발음이다.
Ц와 Ч 두 단어의 구분이 상당히 어렵다.
- Ш / ш // sh
/이쉬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쉬/ 발음
영어 표기로는 /sh/ 발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- Щ / щ // 영문표기 없음
/이쉬체/ 라고 읽는다. 몽골어 단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러시아어 표기 시 사용한다.
- Ъ / ъ // i [문장기호 1]
/하토깅 템득그/ 라고 읽는다.
실제 문장에서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앞의 단어를 강하게 발음한다.
하토(хатуу)는 몽골어로 '강한' 이라는 의미이다.
- Ы / ы // i [문장기호 2]
/이: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ㅣ:/로 /ㅣ/를 길게 발음한다.
ий와 동일한 발음
- Ь / ь // i [문장기호 3]
/쯜ㄹ니 템득그/라고 읽는다.
실제 문장에서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앞의 단어를 약하게 발음한다.
쯜른(зөөлөн)은 몽골어로 '부드러운' 이라는 의미이다.
- Э / э // e [모음7. 여성모음]
/에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ㅔ/ 발음
- Ю / ю // yu
/요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ㅛ/ 발음
한글에서는 모음 발음이지만 몽골어에서는 자음이다.
- Я / я // ya
/야/ 라고 읽는다. 실제 문장에서는 /ㅑ/ 발음
역시 한글에서는 모음 발음이지만 몽골어에서는 자음이다.
문장 맨 끝에 오는 경우 ий /ㅣ:/ 처럼 발음된다.
아직 몽골어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적은 내용이라
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